이론/자바 기초

Java 그게 뭐야? 3. 변수랑 자료형이랑

달거북씨 2022. 1. 25. 02:24

달거북씨는 책을 좋아하는 문과생 거북이였다. 아, 학창시절엔 이과를 배우긴 했다. 가장 좋아했던 건 생물과 지구과학. 다시 이과로 돌아올 줄 알았으면 전직하지 않는건데. 하다못해 복수전공 할 걸.

 

 


 

1. 변수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x = 10 (저장공간 이름 | 대입연산자 | 값)

대입연산자는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의 저장공간에 넣게 하는 것!

즉, x에 10을 넣어주었기 때문에 x는 10

 

 

변수 사용 이유

반복되는 같은 의미의 값을 쉽게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

값에 의미부여를 하기 위해서 사용

 

 

 

2. 자료형

 

저장공간의 종류(타입)

자료형은 보다 다양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것들 위주로 알려주셨다.

그 외 달거북씨가 알고 있는 것들.

- 논리형 | boolean | 1byte | true, false

- 정수형 | byte | 1byte | -128~127

- 정수형 | short | 2byte |

- 정수형 | long | 8byte |

아, 그리고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은 기본 자료형이지만 String은 사실 class다. 그래서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 String에 대한 것은 뒤에 형변환 할 때 좀 더 나온다.

 


 

3. 변수의 선언

선언방법

int x = 10; (자료형 | 변수(저장공간)의 이름 | 대입연산자 | 초기값;) > 초기화;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int x; (자료형 | 변수명;)

 

 

저장

변수 선언 시, RAM 메모리 공간에 저장

x라는 이름의 저장공간이 RAM에 할당되고, 10이라는 값이 들어간다.

공간이 만들어졌으므로 주소값이 부여되지만 알 수 없다.

 

 

선언 시 주의사항

같은 이름의 변수를 선언할 수 없다.

초기화를 해준다.(값을 선언한다.)

되도록 선언부(메소드 상단)에 한꺼번에 선언한다.

 

 

변수명 주의사항

숫자는 맨 앞에 쓸 수 없다. > ex. 1num > error // num1

특수문자는 쓸 수 없다.

공백을 쓸 수 없다. > 대신 카멜 표기법 이용 : noWhere / 또는 _(언더바) 사용 : no_where

항상 영어로 작성

뜻이 있는 명사형 단어를 선택한다. > ex. height, data, ... 

 

 

예제 1

int, float, double, char, String 등을 변수 앞에 붙이면 해당 자료형으로 변환 된다.

같은 이름의 변수는 선언할 수 없지만, 변수에 값을 다시 선언하는 것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위 예제에서 처음 num에 부여된 것은 정수 10(> 출력 10). 후에 num = 20; 이라고 새롭게 값을 선언했다(> 출력 20). 마지막으로 num = num + 10; 이라고 값을 선언했고, 출력 값은 20 + 10으로 30이 나온다.

 

 

예제 2

 

문자 A를 정수로 받으니 65가 출력이 되고 정수 65를 문자로 받으니 A가 된다. 마법인가?

이 마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스키코드(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다.

굉장히 다양한 문자?를 십진수, 16진수, 8진수로 바꿔주는데, 강사님이 그 중 외우면 좋다고 한 문자들을 아래에 정리했다.

A ~ Z : 65 ~ 90

a ~ z : 97 ~ 122

0 ~ 9 : 48 ~ 57 

해당 문자의 십진수 버전을 외워두라고 하셨다.

 


 

4. 변수 실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