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강의를 듣는 중 모니터링 도구로 pinpoint-docker를 사용하게 되었다.

 

강의에서 주어졌던 명령어▼

 

git clone https://github.com/pinpoint-apm/pinpoint-docker.git
cd pinpoint-docker
docker-compose pull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yml up -d

 

하지만 m1에서는 저대로 했을 때 pinpoint-hbase 쪽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첫번째 문제

강의 커뮤니티를 찾아봤더니 버전의 문제였다.

 

내려받은 docker-compose.yml의 버전은 가장 최신 버전을 사용하게 되어있었다.

하지만 도커허브(https://hub.docker.com/u/pinpointdocker)에서 확인해보면,

최신 버전에서는 amd64만 지원해서 m1의 arm64 환경은 지원하지 않는다.

 

버전 중 arm64 환경을 지원하는 2.5.4 버전을 pull 하고 docker-compose.yml에도 버전을 명시했다.

pinpoint-hbase 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의 버전도 2.5.4로 맞춰주었다.

 

두번째 문제

pinpoint-agent 컨테이너가 계속 restarting을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로그에서 에러가 확인됐다.

sed: /pinpoint-agent/profiles/local/log4j2.xml: No such file or directory 
sed: /pinpoint-agent/profiles/release/log4j2.xml: No such file or directory

 

chatGPT에게 물어봐서 온갖 짓을 다해보느라 3시간은 쓴 것 같다;;;

하지만 늘 그렇듯이 안 풀리는 문제는 chatGPT가 점점 더 이상한 짓을 시킨다.

chatGPT를 닫고 다시 공식문서를 읽기 시작했다.

 

해결

공식문서

https://github.com/pinpoint-apm/pinpoint-docker/tree/master

 

GitHub - pinpoint-apm/pinpoint-docker: Official Dockerized components of the Pinpoint

Official Dockerized components of the Pinpoint. Contribute to pinpoint-apm/pinpoint-dock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공식문서를 읽다 보니 눈에 띄는 부분이 있었다.

git checkout {tag} 부분이었다.

git clone https://github.com/pinpoint-apm/pinpoint-docker.git
cd pinpoint-docker
git checkout {tag}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yml -f docker-compose-metric.yml build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Releases 정보였다.

 

2.5.4버전은 pre-release 버전이어서 아무래도 불안정할 것 같았다.

(도커 허브에서는 3v 이상 나와있는데, github에는 왜 2.5.4V까지만 나와있는 지는 모르겠다)

그래서 한 버전 아래인 2.5.3 버전을 쓰기로 한다.

 

이번에는 docker-compose.yml 파일에서 버전을 바꾸지 않고 공식문서에 나와있는 대로 git checkout 2.5.3 명령어를 입력했다.

2.5.3 태그에 체크아웃된 후 build와 up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했다.

 

결과는 성공!

(고생했다ㅠㅠ)

 

728x90

'study > ERR'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x create-react-app 실행 시 'npm ERR'  (0) 2023.09.20


npx create-react-app 명령어 실행 시 ERR가 발생했다.

ENOENT 에러는 'Error NO ENTry'라는 뜻.

C:\Users\(사용자)\AppData\Roaming\npm 경로에 file 또는 디렉토리가 없어 생긴 문제로 보였다.

 

npm config ls 명령어로 npm 설치경로를 확인했을 때는 prefix가 해당경로로 잘 설정되어 있었다.

prefix = "C:\\Users\\(사용자)\\AppData\\Roaming\\npm"

 

하지만 실제로 저 경로로 들어가봤을 때는 npm 폴더가 없었다.

 

구글링 끝에 너무 간단히 문제를 해결했는데,

저 경로에 npm 폴더가 없다면 그냥 빈 npm 폴더를 만들어주기만 하면 되었다!

(참고 블로그 : https://velog.io/@mjieun/React-%EA%B0%9C%EB%B0%9C%ED%99%98%EA%B2%BD-%EC%84%A4%EC%A0%95-%ED%94%84%EB%A1%9C%EC%A0%9D%ED%8A%B8-%EC%83%9D%EC%84%B1)

 

완료!

728x90

'study > ERR' 카테고리의 다른 글

M1에서 pinpoint-docker 실행하기  (0) 2025.05.20

한동안 백준 문제를 풀지 않다가

현재는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입문 문제 풀이 중

 

https://github.com/kiya-moon/programmers.git

728x90

'study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여섯째날  (0) 2022.05.10
백준 다섯째날  (0) 2022.05.06
백준 넷째날  (0) 2022.05.05
백준 셋째날  (0) 2022.05.04
백준 둘째날  (0) 2022.03.22

주말은 놀았고, 월요일부터 백준문제 다시 풀이 시작

스터디에서 이번주부터 백준 문제 풀이를 시작해서 하루에 한 문제 풀이는 무사히 지켜나갈 것 같다.

다만 월요일, 화요일 문제 한 번에 기록하는 중...ㅎ

 


 

>>> 월요일에 실버문제를 풀었더니 브론즈 2가 되었다. 어서 등급 올리고픔

 


 

월요일에는 백준 1436번 문제, 화요일에는 백준 1789번 문제를 풀었다.

1436번 문제는 해석이 난해하더니, 1789번 문제는 통과가 난해했다. 스터디장님 왜 이런 문제를 

 

백준 1436번

 

 

> 문제 해석

제일 작은 종말의 숫자는 666이고, 그 다음으로 큰 수는 1666, 2666, 3666, .... 과 같다.

2번째 1666, 3번째 2666, 6번째 5666, 187번째 66666, 500번째 166699

 

음 네 좋아여, 뭐라구요?

이게 도통 무슨 순서로 666을 기준으로 앞에 숫자가 커졌다 뒤에 숫자가 커졌다 하는지를 이해할 수가 없었다!!!

 

구글에 백준 1436번 검색하고 내리 두 페이지의 모든 글을 들어가서 설명을 읽어보았다. 그리고 간신히 달거북씨를 이해시켜주는 빛과 소금 같은 블로그를 만났다ㅠㅠ

 

단순하게 666부터 숫자가 하나씩 커지는 거지면서 666이 들어가는 숫자만 카운팅되어 출력되는 것이었다!!!

 

즉, 666부터 시작해서 667, 668, 669... 이렇게 숫자가 커지다가 1666에서 한 번 카운팅되고 2666에서 또 한 번 카운팅 되는 식이었다. 이 단순한 걸 너무 어렵게 생각했었나보다.

 

> 문제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number = 666;
		int cnt = 1;
		
		while (cnt != N) {
			number++; // 667.. 668.. 669.. ~~ 1666
			if (String.valueOf(number).contains("666")) {
				cnt++;
			}
		}
		System.out.println(number);

코드도 무척이나 간단하다.

 

 

 

백준 1789번

 

 

> 문제 해석

문제 자체는 무척 간단하다.

서로 다른 N개의 자연수의 합이 S이고, S를 알 때 자연수 N의 최댓값은 얼마인지 구하는 문제이다.
N의 최댓값을 구해야 하므로, 합 S를 만들 때 가장 많은 자연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찾는다.
즉, 가장 낮은 자연수부터 더해가며 S가 되는 갯수를 찾으면 된다.

 

> 문제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long S = Long.parseLong(br.readLine());
		br.close();
        
		long sum = 0, N = 0;
		
			sum += N;
			if(sum>S) {break;}
			N++;
		}
		
		// S가 200일 때, 1~19까지 더하면 190, 20을 더하면 210이 된다.
		// 즉, N은 20일 때 while문을 빠져나오게 되는데, 우리는 200을 만드는 자연수의 갯수를 찾는 중.
		// 1~18까지 더한 후 여기에 29를 더하면 200이 되므로 N은 19개이다.
		// 따라서 N-1을 출력한다.
		bw.write(String.valueOf(N-1));
		bw.flush();
		bw.close();
		
	}
}

이 문제도 풀이는 간단하다.

그런데!

그런데!!!

백준을 통과를 못했다!!!

 

 

13번이나 시도한 흔적...

일단 S와 sum의 타입이 모두 Long 타입이어야 했고, S가 1일 때 N은 1이 나와야 했다.

후^^

728x90

'study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황  (0) 2023.01.31
백준 다섯째날  (0) 2022.05.06
백준 넷째날  (0) 2022.05.05
백준 셋째날  (0) 2022.05.04
백준 둘째날  (0) 2022.03.22

정신 차리고 보니 하루가 끝나가고 있어 부랴부랴 쉬운 문제 하나 가져와 풀었다.

꾸준히 해서 캘린더? 그것도 초록색으로 다 칠하고 레벨도 올려야지. 아직은 브론즈 단계

 


 

오늘 푼 문제는 쉬~운 2741번 문제

 

문제 풀이는 마찬가지로 깃허브에~

https://github.com/kiya-moon/BOJ.git

728x90

'study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황  (0) 2023.01.31
백준 여섯째날  (0) 2022.05.10
백준 넷째날  (0) 2022.05.05
백준 셋째날  (0) 2022.05.04
백준 둘째날  (0) 2022.03.22

+ Recent posts